학술자료
아펜젤러 신학저널
작성자
HAU Library
작성일
2022-01-24 17:36
조회
5062
2022년 제1호(창간호)
옥성득, 아펜젤러의 내한 과정과 한국에서의 첫 4년, 1884-1888
김칠성, 한국감리교회 주춧돌을 놓은 아펜젤러 선교사: 아펜젤러 순직 120주년을 맞이하여
서영석, 아펜젤러의 신학과 사상
김낙환, H. G. Appenzeller의 조선 선교와 교육 그리고 그 영향
이덕주, 텃밭신학: 재미 한인디아스포라 신학의 모색: <포와한인교보>와 샌프란시스코 <대도>를 중심으로
김광원, 독일과 프랑스 현상학파의 신 담론
박성환, Jesus in the Gospel of Mark and Divine Inspiration
임봉대, 시편 29편과 가나안 신화의 연관성 이해
신기성, 환대의 장으로서의 교회
박인갑, 존 웨슬리와 디아코니아
옥성득, 아펜젤러의 내한 과정과 한국에서의 첫 4년, 1884-1888
김칠성, 한국감리교회 주춧돌을 놓은 아펜젤러 선교사: 아펜젤러 순직 120주년을 맞이하여
서영석, 아펜젤러의 신학과 사상
김낙환, H. G. Appenzeller의 조선 선교와 교육 그리고 그 영향
이덕주, 텃밭신학: 재미 한인디아스포라 신학의 모색: <포와한인교보>와 샌프란시스코 <대도>를 중심으로
김광원, 독일과 프랑스 현상학파의 신 담론
박성환, Jesus in the Gospel of Mark and Divine Inspiration
임봉대, 시편 29편과 가나안 신화의 연관성 이해
신기성, 환대의 장으로서의 교회
박인갑, 존 웨슬리와 디아코니아